도시가스사용시설안전관리자는
특정고압가스사용신고시설,액화석유가스특정사용시설등 법규정에의한 검사대상기기 조종자 자격소지자가 가스용보일러 조종자로 근무하려면 필요한 자격증입니다.
이 자격증은 양성교육과 시험을 통해 자격을 획득할수 있는 자격증중하나입니다.
가스사용시설안전관리자는
가스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법정안전관리자의 안정적인 배출과 가스분야 전반에 소요되는 안전관리자 양성과정을 한국가스안전공사에서 시행하여 배출하는 전문자격을 말합니다.
특정 가스 용량 이상의 시설을 관리하기위해서는 가스사용시설 안전관리자 자격을 획득한 사람이 필요하며 위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 일정 교육시간과 시험을 치뤄야 자격을 딸수 있습니다.
※ 가스사용시설 안전관리자 교육수강
가스사용시설 안전관리자 교육은 정규과정 30시간, 온라인 이론과정(90% 이상 수강시17시간 인정),현장실습과정 13시간을 이수해야합니다.
코로나19기간에는 비대면 교육활성화로 온라인이론+실습과정 24시간,현장실습과정 6시간으로 한시적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 가스사용시설 안전관리자 교육대상
가스사용시설 안전관리자 교육대상
○ 다음 시설의 안전관리책임자로 근무하고자 하는 자
- 특정고압가스사용신고시설 [저장능력250kg (압축가스100㎥) 초과], 액화석유가스특정사용시설(공동저장시설 : 수용가 500가구 이하, 공동저장시설 외의 시설 : 저장능력 250kg 초과), 특정가스사용 시설(월사용예정량 4,000㎥초과)
* 공동저장시설의 개념 : 액법 제34조 제1항의 단서에 의한 시설로 저장능력 250kg 초과 시설(자동절체기로 용기집합 시설 500kg초과, 소형저장탱크 설치 시설은 1톤 초과 시설)
○ 다음 시설의 안전관리원으로 근무하고자 하는 자
- 액화석유가스특정사용시설 (공동저장시설 : 수용가 500가구초과)
○ 에너지이용합리화법의 규정에 의한 검사대상기기 조종자 자격 소지자로서 가스용보일러조종자로 근무하고자 하는자
○ 관련근거 : 고법 시행령 별표3, 액법 시행령 별표1, 도법 시행령 별표1, 고법 시행규칙 별표31, 액법 시행규칙 별표19, 도법 시행규칙 별표14, 에너지이용합리화법 시행규칙 별표3의 9 비고4)
※ 가스 3법기준 사용시설 안전관리자 선임범위
시설구분
|
저장능력 또는 시간당 처리능력
|
선임가능여부 | |
안전관리책임자 | 안전관리원 | ||
특정고압가스사용시설 | 250㎏(압축가스 100㎥) 초과 | 0 | - |
LPG특정사용시설
|
250kg 초과(소형저장탱크 1톤 초과) | 0 | - |
500가구 초과(공동저장시설) | x | 0 | |
500가구 이하(공동저장시설) | 0 | - | |
특정가스사용시설 | 월사용예정량 4,000㎥ 초과 | 0 | - |
한국가스인전공사
교육기관 : 가스안전교육원
교육과목 : 가스사용시설안전관리자
양성교육 합격자의 합격전략 요점노트 일부를 공개합니다
[1] 가스개론
1. 고압가스의 분류
(1) 압축가스 : 수소, 산소, 질소, 메탄 (상태변화 없이 압축, 저장)
(2) 액화가스 : 프로판, 염소, 암모니아, 이산화탄소, 산화에틸렌 (상온압력 액체저장)
(3) 용해가스 : 아세틸렌 (아세톤 용제주입, 고압용해 후 저장)
2. 연소성에 따른 분류
(1) 가연성 가스 : 프로판, 부탄, 일산화탄소, 수소, 아세틸렌
(2) 조연성 가스 : 산소, 염소, 공기 등
(3) 불연성 가스 : 질소, 아르곤, 이산화탄소 등 (연소와 무관한 가스)
■ 가연성 가스를 분류하는 법적 규정
- 폭발한계 하한 10% 이하 , 상한과 하한의 차이 20% 이상
3. 독성유무의 분류
(1) 독성가스 : 염소, 아황산가스, 일산화탄소, 암모니아, 산화에틸렌, 포스겐 등
(2) 비독성가스 : 산소, 질소, 아르곤, 부탄, 메탄, 헬륨 등 (비유해 가스로도 분류됨)
▶ 허용농도 : 100만분의 5,000 (5,000ppm)
▶ 암모니아, 염화메탄, 실란, 삼불화질소는 독성가스에서 제외되나 운영상 독성가스로 분류
4. 연소범위 = 연소한계 = 폭발범위
- 메탄 : 5 ~ 15%, 프로판 : 2.1 ~ 9.5%, 부탄 : 1.8 ~ 8.4%
5. 토리첼리의 실험 : 압력 = 밀도 X 높이 (1기압 = 76cmHg = 1.0332kg/cm2 = 0.1013Mpa)
6. 절대압력 = 대기압 + 게이지압력 (압력계 8kg/cm2 -> 절대압력 9.0332kg/cm2)
7. 섭씨온도 와 화씨온도
(1) 섭씨온도 = F = 9/5 X C + 32
(2) 화씨온도 = C = 9/5 X (F - 32)
8. 비중
(1) 가스비중 : 가스의 무게와 공기의 무게를 비교한 값
(2) 액비중 : 물의 밀도와 액체의 기준량 cm3(리터)의 무게를 비교한 값
▶ 주기율표에 따른 비중계산 (C 탄소 : 12g, H 수소 : 1g, O 산소 : 16g, N 질소 : 14g)
예) 공기는 질소(N2)79% 와 산소(O2)21%로 구성
= (14 x 2) x 0.79 + (16 x 2) x 0.21 = 29g
<메탄 CH4 = (12 x 1) + (1 x 4) = 16g>
9. 증기압 - "온도와 종류에 따라 변하고 양과는 무관하다. 양에 관계없이 증기압은 동일"
10. 액화가스의 부피팽창
모든 물질은 온도가 높아지면 부피가 커지고, 낮아지면 부피가 작아진다.
<보일-샬의 법칙>
일정량의 기체의 부피는 압력에 반비례하고 절대온도에 비례한다.
11. LNG 의 특징
- 메탄이 주성분, 비점은 -162C, 무색무취액체, -113C 이하에서는 건조된 공기보다 무겁다.
<분자량 : 16, 비중 : 0.55, 비점 : -162C, 폭발범위 : 5 ~ 15%>
- 액화산소, 액화질소의 제조 / 냉동창고에도 이용
12. LPG 의 특징
- 무색무취, 기화 및 액화가 쉽다, 공기보다 무겁고 물보다 가볍다, 액화시 부피감소
- 연소시 다량의 공기필요, 발열량 및 청정성이 우수, 유지류 및 천연고무를 녹이는 용해성
- 프로판 폭발범위 : 2.1 ~ 9.5% , 부탄의 폭발범위 : 1.8 ~ 8.4%
13. 일반가스
(1) 산소 : 조연성 가스, 비점 -183C, 무색무취, 물에 약간 녹는다. 공기중 21% 함유
- 산화물생성(단 희가스, 할로겐원소, 귀금속과는 반응하지 않는다.)
- 수소반응시 폭발 및 물 발생, 탄소화합시 일/이산화탄소 생성
<원자량 : 16, 분자량 : 32, 밀도 : 1,429>
(2) 염소 : 상온에서 자극적 냄새, 황록색기체, 비점 -34C, 기체시 공기보다 2.5배 무거움
- 독성가스 : 허용농도 293ppm (메탄, 에탄등과 반응시 폭발성)
<원자량 : 35.5, 분자량 : 71, 비중 : 2.5(기체) 1.4(액체), 비점 : -34C>
(3) 암모니아 : 냉매제로 많이 사용, 가연성가스의 예외로 취급
- 자극이 강한 냄새를 가진 무색기체, 물에 잘 용해된다.
<분자량 : 17, 비중 : 0.59, 비점 : -33.4C, 허용농도 : 7,338ppm>
- 염산수용액과 반응시 흰연기 발생
(4) 수소 : 비점, 끓는점이 가장 낮다. 무색무취기체로 가연성물질 (독성은 없다.)
- 가장 밀도가 작고 가벼운 기체
- 산소와 수소의 혼합가스 연소시 2,000C 이상의 고온을 얻는다.
<원자량 : 1.008, 분자량 : 2.016, 비점 -252.8C, 폭발범위 : 4 ~ 75>
- 용접, 절단사용 / 염소,불소와 반응시 폭발/ 공업용으로 널리쓰임
(5) 아세틸렌 : 3중결합을 가진 불포화 탄화수소, 무색기체, 아세톤 1몰에 아세틸렌 25몰이 녹음
- 산소와 연소시키면 3,000C 를 넘는 불꽃을 얻는다. 공기중에서 발화점이 낮다.
- 0.1Mpa 이상에서 폭발 및 분해 (수소와 탄소로 분해)
- 구리함유량이 62% 초과 동합금은 아세틸렌설비에 사용해서는 안된다.
<분자량 : 26.04, 비점 : -83.8C, 폭발범위 : 2.5 ~ 81> 폭발범위가 가장크다.
[2] 사고분석 및 예방
1. 사고통계분석 : 취급부주의 58.5% (사용자 39.9%, 공급자 13.9%, 굴착공사 4.7%)
가스사용시설안전관리자
처음으로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 여러분 고민하지 마시고
아래 카페에 가입하시고 도음 받으시면 누구나 합격할수 있습니다
이미 많은 선배님 합격자들을 배출하고 있는 카페 이며
기출문제 요점노트 합격후기 제공 합니다
가스소방안전관리자학교 : 네이버 카페
https://cafe.naver.com/plus2050
가스소방안전관리자학교 : 네이버 카페
소방안전관리자 가스사용시설안전관리자 사용시설안전관리자 가스안전관리자 한국가스안전공사 소방안전원
cafe.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