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안전학습퀴즈 A
_1. 메탄은 상온에서 공기보다 가볍다. Y // 메탄은 공기무게의 0.55배로 공기보다 가볍다.
_2. 매월 4일은 가스안전점검의 날이다. Y //
_3. 이사할 곳에 공급되는 가스의 종류가 이사전의 가스와 달라지는 경우에도 연소기는 가스배관에 연결만 잘 해서 사
용할 수 있다./ NO // 연소기는 도시가스용과 LPG용으로 구분되어 생산되므로 연소기제조사 AS센터에 연락하여 열
량변경작업을 받아 사용하여야 합니다.
4. 추운 겨울철 부탄캔에서 가스가 잘 나오지 않으면 냄비의 물에 넣고 끓이면 된다. NO
냄비의 물에 넣고 끓이면 증기압이 증가되어 폭발하게 되어 매우 위험합니다.
5. 가스렌지에서 가스를 절약하기 위해 퓨즈콕을 반쯤 잠그고 사용한다. NO.
가스량을 조절하는 것은 가스렌지 콕을 이용하여야 하며 퓨즈콕을 반쯤 잠그고 사용하면 퓨즈콕이 기능(과류차단기능)
을 하지 못합니다.
6. 휴대용연소기(부탄캔 장착)에 사용하는 조리기구는 크면 클수록 좋다. NO
과대 그릇의 사용은 그릇의 복사열에 의해 부탄캔의 폭발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는 그릇은 부탄캔 장착위치
를 덮지 않는 작은 그릇을 사용하여야 한다.
7. 휴대용 가스렌지에 사용되는 부탄캔은 다 사용하고 버릴 때에도 부탄캔에 구멍을 뚫어 화기가 없는 곳에 버려야 한
다. YES
8. 도시가스 수용가에게 도시가스를 공급하는 회사는 각 시·도 있는 도시가스사이다. YES
9. 부탄은 공기보다 무겁다. YES /공기보다 약 2배 무겁다.
10. 현재 서울, 부산, 대구, 인천, 대전, 광주 등 대도시에서 사용하는 도시가스의 주성분은 프로판과 부탄이다. NO
현재 대도시에서 사용하는 도시가스의 주성분은 메탄이다.

가스안전학습퀴즈 B
1. 액화석유가스(LPG)는 공기보다 가벼워 누출되면 위로 상승한다. NO
LPG는 공기보다 약1.5~2배정도 무거워 누출시 바닥에 체류한다.
2. 이사갈 때 가스시설 철거는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야 한다. YES
이사 시 가스시설 철거나 설치는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야 한다.
3. 가정용 LPG용기는 환기가 잘되고 빗물 등을 막을 수 있는 실내에 설치하여야 한다. NO
LPG 용기는 환기가 잘되는 옥외에 설치하여야 한다.
4. LPG 용기 밸브는 수도꼭지와 같이 핸들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닫히고 반대로 돌리면 열린다. YES
LPG용기 밸브는 수도꼭지와 같은 방향으로 열고 닫는다.
5. 액화천연가스가 연소하기 위해서는 산소가 필요하다. YES
가연성가스가 연소하기 위해서는 조연성가스인 산소가 필요하다.
6. 액화석유가스(LPG)의 용기에 충전된 가스는 기체상태이다. NO
액화석유가스(LPG)의 용기에는 액화상태의 가스가 충전되어 있다.
7. 순수한 액화석유가스(LPG)는 아무런 색깔이나 냄새가 없다. YES
순수한 LPG는 무색, 무취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8. 액화석유가스(LPG) 용기의 색깔은 흰색이다. NO. // LPG용기의 색깔은 회색이다.
9. 모든 가스의 용기 색깔은 같다. NO // 용기의 색깔을 다르게 하여 충전된 가스의 종류를 구분하게 하였다.
10. LPG를 사용하다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곳으로 이사가게 되어도 연소기는 연결만 하면 사용 할 수 있다. NO //
도시가스용 연소기와 LPG용 연소기는 다르므로 전문가에게 열량 변경을 의뢰한 후 사용하여야 한다.

가스안전학습퀴즈 C
1. 모든 연소기는 LPG와 도시가스에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 되었다. NO/
가스연소기는 LPG용과 도시가스용이 별도로 생산된다
2. 압력조정기, 중간밸브 등 간단한 가정용 가스시설은 사용자가 설치가능하다. NO/
압력조정기, 중간밸브 등의 설치는 전문가에게 의뢰하여야 한다.
3. 금속배관과 연소기를 연결하는 호스는 3m 이내로 설치하여야 한다. YES / 배관과 연소기를 연결하는 호스는 3m
이내로 설치하여야 한다.
4. 메탄이 주성분인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시설에 설치되는 가스누출 경보기의 검지부는 바닥면에 설치하여야 한다 NO
도시가스는 공기보다 가볍기 때문에 누출되면 위로 확산되기 때문에 천정부에 설치한다.
5. 보일러를 사용할 때 빗물이나 바람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환기구를 막아야 한다. NO / 환기구를 막으면
위험하므로 항상 열어두어야 한다.
6. 부탄캔을 버릴 때는 용기에 구멍을 뚫어 남은 가스를 제거하고 화기가 없는 곳에 버린다. YES / 구멍을 뚫어 화기
가 없는 곳에 버린다.
7. 가정에서 사용하는 중간밸브는 퓨즈콕이다. YES/ 호스등이 이탈되더라도 가스를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는 안전장
치가 부착된 중간밸브가 퓨즈콕이다.
8. 가스가 누출되면 신속한 환기를 위해 선풍기나 환기팬을 가동시켜야 한다. no / 전기스파크는 폭발의 원인이 되므
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9. 휴대용 부탄용기를 사용시 가스가 잘 나오지 않으면 뜨거운 물에 끓여서 사용하면 잘 나온다. NO / 뜨거운 물에
끓이면 증기압이 상승되어 위험하므로 안 된다.
10. 가스보일러를 사용하기 전에 배기통이 이탈되지는 않았나 확인하고 사용하여야 한다. YES / 배기통이 이탈되면
폐가스에 의한 중독사고가 발생하므로 사용하기 전 반드시 확인하여야 한다.

가스안전학습퀴즈 D
1. LPG자동차 운전자는 안전교육을 받아야 한다. YES / LPG자동차 운전자는 가스안전공사에서 실시하는 안전교육을 이수하여야 한다.
2. 도시가스의 주 원료는 천연가스이다. yes / 도시가스는 메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가스이다.
3. LPG는 공기보다 무거워 가스가 새면 바닥 등 낮은 곳으로 체류하게 된다. YES/ LPG는 공기보다 약 1.5~2배정도 무거워 바닥으로 체류하게 된다.
4. LPG가 연소하게 되면 가스량의 약 24~30배정도의 공기가 필요하다. YES / LPG가 연소시 다량의 공기를 필요로 한다.
5. 가스를 사용후 중간밸브는 퓨즈콕이므로 꼭 잠글 필요는 없다. NO / 가스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항상 중간밸브는 잠가야 한다.
6. 이사 등으로 사용하는 가스의 종류가 달라졌을때 연소기의 열량변경은 아무나 할 수 있다. NO/연소기의 열량변경 은 연소기제조사의 A/S센터에 연락하여야 한다.
7. 가스시설의 철거 및 설치는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야 한다. YES / 이사등 가스시설의 철거 및 설치는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야 한다.
8. 가정용 LPG용기는 반드시 환기가 잘되는 옥외에 빗물이나 직사광선을 피하여 보관해야 한다. YES / LPG용기는 반드시 옥외에 보관하여야 한다.
9. 휴대용 부탄연소기를 사용시 과대 석쇠에 알루미늄 호일을 감아 사용하면 위험하다. YES/ 과대 석쇠에 알루미늄 호일을 감아 사용시 복사열로 인해 부탄캔이 폭발할 수 있어 매우 위험하다.
10. 부탄가스는 청소년(19세 미만)들에게 판매를 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YES/ 청소년 보호법에는 청소년들에게 부 탄가스를 판매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가스안전학습퀴즈 E
1. 가스를 사용후 연소기 콕, 중간밸브를 모두 잠가야 한다. YES/ 가스를 사용후에는 연소기의 콕과 중간밸브를 모두 잠가야 안전하다
2. 도시가스는 공기보다 무겁다. NO / 도시가스는 메탄을 주성분으로 공기보다 가볍다.
3. LPG는 공기보다 가벼워 가스가 새면 위로 올라간다. NO / LPG는 공기보다 약 1.5∼2배 정도 무거워 바닥으로 체 류하게 된다.
4. 이사시 가스시설을 철거할 때는 공급자에게 의뢰 하여야 한다. YES/ 이사시 가스시설 철거나 설치는 공급자 등 가 스전문가에게 의뢰하여야 한다.
5. 호스가 빠지거나 이탈되었을 때 자동으로 가스를 차단시켜 주는 중간밸브는 퓨즈콕이다. YES/ 과류차단기능의 안 전장치가 부착된 중간밸브가 퓨즈콕이다.
6. 부탄가스 용기는 청소년 구입이 금지 되어 있다. YES/ 청소년보호법에는 청소년에게는 부탄가스를 판매하지 못하 도록 규정이 있다.
7. 퓨즈콕으로 가스사용량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NO/ 퓨즈콕으로 가스사용량을 조절하게 되면 퓨즈콕이 작동하 지 않을 수 있어 위험합니다.
8. 가스가 누출되었을 때 전기콘센트에 있는 전기플러그를 신속히 뽑는다. NO/ 가스가 누출되면 전기스위치를 만지면 전기스파크를 유발할 수 있어 매우 위험하다
9. 겨울철 부탄캔에서 가스가 나오지 않을 때는 난로에 녹여 사용한다. NO / 부탄용기를 화기에 가까이 하면 압력상 승으로 용기가 파열될 수 있어 매우 위험하다.
10. 이사철 등, 가스렌지 철거시 중간밸브가 퓨즈콕이므로 별도의 막음조치를 반드시 할 필요는 없다. NO/ 이사철 등, 가스렌지 철거시 반드시 막음조치를 하여야 한다.
한국가스안전공사 가스안전교육원 교육생들이 합격하는데
큰 도움을 받았다고 추천하는 바로 그 카페입니다
① 아래 해당되는 시험 준비생들은 반드시 아래 카페에 가입하여 도움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 최단시간에 효율을 얻고자 하는 자
- 시간이 없거나 부족한 자
- 비전공자
- 암기능력이 부족한자
- 시험에 불합격한자
- 지식이 없는자
② 가스사용시설안전관리자, 일반시설안전관리자, 소방안전관리자
기출문제 , 요점정리, 합격후기 제공합니다
가스안전관리자 소방안전관리자 전문카페
https://cafe.naver.com/plus2050
가스소방안전관리자시험 : 네이버 카페
가스사용시설안전관리자 가스안전교육원 일반시설안전관리자 소방안전관리자 기출문제 요점정리 합격후기
cafe.naver.com
★ 질문자님께서 도움이 되어서 채택 해 주시면
답변내용이 부족하지만 답변자에게는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가스안전교육원, #가스사용시설안전관리자, #사용시설안전관리자, #가스안전관리자, #한국가스안전공사, #일반시설안전관리자, #냉동시설안전관리자, #판매시설안전관리자, #LPG충전시설안전관리자, #도시가스시설안전관리자, #온수보일러시공자, #가스시설시공관리자, #운반책임자, #가스자격증, #가스안전관리자선임, #가스안전관리자교육, #가스안전리자시험, #소방안전관리자, #한국소방안전원, #소방자격증, #소방안전관리자선임, #소방안전관리자교육, #소방안전리자시험, #소방안전관리자1급, #소방안전관리자2급, #소방안전관리자3급

